현명한 부모의 소통방법
본문 바로가기
내 이야기/육아

현명한 부모의 소통방법

by 까꿍이언니 2021. 2. 23.
반응형

현명한 부모의 소통 방법


아이에게 존댓말을 하지 마세요.
간혹 아이에게 존댓말을 하는 부모들을 볼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존중과 존댓말은 다릅니다. 말로는 존댓말을 하면서 말투나 눈빛, 행동은 아이를 전혀 존중하지 않는다면 그 존댓말은 의미가 없습니다. 간혹 아이가 잘못했을 때 그 행동을 전환 하고자 할 때가 있습니다. 이 때 존댓말로 훈육하면 안됩니다. 아이는 존댓말을 쓰는 부모를 보고 자신의 잘못된 행동을 부모가 이해하고 있으며,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고 오해하여 자신의 행동에 확신을 키워가기 때문입니다.

애원하듯 부탁하지 마세요.
아이가 반드시 지켜야 할 규칙이나 그 일들을 알려줄 때 또는 잘못된 행동을 했을 경우, 부모는 부탁하며 하지 말라고 해서는 안됩니다.
올바른 사회적 기준에 자신의 행동을 자제하고 조절해야 하는데 단순히 엄마의 요구에만 응하면 된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사회적 행동의 변화를 기대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는 "안돼. 멈춰. 기다려. 참아야해" 등 단호하게 이야기 해야 합니다.

과잉접촉을 하지 마세요.
아이와의 적절한 스킨쉽은 신체적 발달 뿐 아니라 아이의 정서적 발달, 안정감, 사회적 태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. 하지만 지나친 스킨쉽은 아이를 의존적, 타율적으로 성장하게 합니다. 그렇게 때문에 아이가 사랑받고 있음을 느낄 수 있을 만큼만 절제해야 합니다. 과한 스킨쉽은 엄마가 늘 하던 행동이기에 큰 의미를 둘 수 없어 그리 애정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게 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 입니다.

아이의 일을 대신 해 주지 마세요.
아이는 생각보다 혼자 할 수 있는 일들이 많습니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모는 아이의 일을 생각보다 많이 대신 해 주고 있습니다. 아이의 인지능력과 인성발달을 위해서는 아이가 직접 자신의 일을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. 직접 경험하고 이끌어 가면서 자존감도 생기게 됩니다. 나이에 맞는 일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. 자신의 가치를 알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.

반응형

댓글